5. 품질기술 분임조 활동시의 관련
수법
5.1 QC기초수법 및 관련 품질관리수법
QC기초수법 7가지로는 ①특성요인도,
②체크시트, ③그래프, ④파레토그림, ⑤히스토그램, ⑥층별, ⑦산점도
등을 말하며, 이들외에 검추정이나 상관·회귀, 실험계획법, 신뢰성
등이 활용되며, 이들 수법의 구체적인 사항은 별도의 통계적 품질관리
도서를 참고하도록 한다.
5.2 신QC7가지 수법
신QC 7가지 도구는 방침관리를
추진하는데 있어서의 계획수립 과정, 부문간 제휴 문제점 설정, 계획적
어프로치를 위한 수단 등에 언어정보 즉, 언어데이터를 정리하는 기법을
체계화한 신QC 7가지 도구를 활용하면 많은 도움이 되며, 언어데이터을
바탕으로한 수법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품질경영을 추진하려는데
신QC 7가지 도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신QC 7가지는 방침의 전개나
관리에 주로 쓰이는 수법이나, 품질관리 분임조활동에서도 종종 쓰이고
있다. 이들에 대한 개략적인 사항만 기술하고 상세한 것은 본서의 제6장「방침관리와
기능별 관리」를 참조바란다.
① 연관도법(Relations diagram) - 문제가
되는 사상(결과)에 대하여 요인(원인)이 복잡하게 엉켜 있을 경우에
그 인과관계나 요인상호관계를 명확하게 함으로써 원인의 탐색과 구조의
명확화를 가능케하고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발견할 수 있는 방법이다.
② 친화도법(Affinity diagram) - 미지·미경험의
분야 등 혼돈된 상태 가운데서 사실·의견·발상 등을 언어데이터에
의하여 유도하여 이들 데이터를 친화법에 바탕하여 친화도가 큰 것끼리
그루핑하여 정리함으로써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문제해결과 발상을
이끌어내는 방법이다.
③ 계통도법(Tree diagram) - 목적·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방책을 계통적으로 전개함으로써 문제(사상)의
전모에 대하여 일람성(visibility)을 부여하고, 그 문제의 중점을 명확히
하는 것으로, 목표·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최적의 수단·방책을
추구해 가는 방법이다.
④ 매트릭스도법(Matrix diagram) -
문제가 되고 있는 사상 가운데서 짝이 되는 요소를 찾아내어 이것을
행과 열로 배치하고 그 교점에 각 요소간의 연관유무나 관련정도를 표시함으로써
㉮ 이원적인 배치 가운데서 문제의
소재나 문제의 형태를 탐색한다.
㉯ 이원적인 관계 가운데서 문제해결에의
착상을 얻는다.
등, 이 상호 교점을「착상의 포인트」로
하여 문제해결을 효과적으로 추진해 가는 방법이다.
⑤ 매트릭스 데이터 해석법(Matrix data
analysis) - L형 매트릭스의 각 교점에 수치데이터가 배열되어 있는
경우 그들 데이터간의 상호관계를 실마리로 하여, 그 데이터가 지닌
정보를 한꺼번에 가급적 많이 표현할 수 있도록 합성 득점(중요도 합계점)을
구함으로써 전체를 알아보기 쉽게 정리하는 방법이다.
⑥ PDPC법(Process Decision Program
Chart) - 신제품개발이나 제품책임문제의 예방 등과 같이 최초의 시점에서는
최종결과까지의 행방을 충분히 짐작할 수 없는 문제에 대하여 그 진보과정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따라 차례로 시행되는 계획의 정도를 높여 적정한 판단을
내림으로써 사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가거나 중대사태를 회피하는
방책을 얻게 되는 방법이다.
⑦ 애로우다이어그램법(Arrow diagram)
- PERT(Program Evaluation & Review Technique)나 CPM(Critical
Path Method)에서 쓰이는 일정계획을 위한 네트워크 그림으로 최적의
일정계획을 세워 효율적으로 진척을 관리하는 방법이다.
|